청산별곡고려가요 작자미상) 살피기

청산별곡고려가요 작자미상) 살피기

청산별곡은 현실을 벗어나 이상적인 공간으로 가고자 하는 피안지향성의 보편적 주제를 다루고 있고, 분장체나 후렴구 등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 대부분의 고려가요처럼 민요에서 기원했거나 민요와 연관된 궁중의 노래였을 것이라 추측합니다. 작자도 해석도 완벽게 설정되지 않기에 여러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종합적인 정서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한 후 여러 해석의 가정 근거를 분명히 이해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면 될 것입니다. 이 연극에 등장하는 청산과 바다를 어떠한 방식으로 보는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있습니다.

청산과 바다를 낭만적인 이상향으로 규정하면 조금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벗어나고 싶은 민중의 소망이 투영되는 현실 도피사상을 그린 노래가 됩니다.


작품 해설 1
작품 해설 1

작품 해설 1

청산별곡은 척신들의 횡포와 무신들의 무단 정치, 몽골의 침입 등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고려인들의 삶의 애환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고통 속에서 존재하고 있던 시적 화자는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 청산을 찾는다1연. 그리고 그곳에서 새와 더불어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지만2연, 새마저 떠나 버리고3연 처절한 고독에 빠져들게 된다4연. 이리하여 자신의 고독과 슬픔이 어쩔 수 없는 운명임을 한탄한다5연. 청산에서 위안을 얻지 못한 시적 화자는 다시 새로운 세계인 바다를 찾아 나선다6연. 숨막히는 마음에 기적이라도 일어나기를 바라면서7연, 그 절박하고 슬픈 심정을 술로 달래려고 한다8연. 시적 화자는 청산과 바다라는 이상향을 추구하지만, 결국 이상향에 이르지 못한 채 청산이나 바다.

어디에서도 현실의 고뇌를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속세에 대한 미련을 갖기도 하고, 술로써 자신을 달래보기도 했던 것입니다.

꼼꼼하게 살피기
꼼꼼하게 살피기

꼼꼼하게 살피기

화자가 청산에 살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피안모든 번뇌를 해탈한 이상적 공간의 공간인 청산에서 머루와 다래를 먹는 소박한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 얄리 얄리 얄량셩 얄라리 얄라 후렴구로 각 연마다. 반복되어 이 예술크리에이션의 음악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2연부터 화자는 실제 고통을 겪는 사람으로 등장합니다. 화자 매일 일어나 우는 새보다도 더 큰 시름이 있는 사람으로 등장합니다. 우러라 우는구나 영탄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새 감정이입의 대상으로 화자의 정서를 부각하는 역할을 합니다. – 화자 : 이끼 낀 쟁기를 갖고 과거에 갈던 이랑을 멀리서 바라보는 사람으로 등장합니다. 가던 새 갈던 사래밭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청산별곡 해제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가요입니다. 전체 8연이며, 악장가사에 전문이, 시용향악보에 곡조와 제1연이 실려 있습니다. 오랜동안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문자로 정착된 이 곡은 고려속요 중 서경별곡, 만전춘별사, 가시리와 함께 비유성과 문학성이 가장 두드러진 작품으로 꼽힌다 우수와 해학을 바탕으로 삶의 고통과 비애를 형상화한 이 곡은 고려 시대 사람들의 자연애, 은둔 사상, 취락사상 등 후대 국문학의 주요한 규정이 잘 드러나 있으며 그 시대 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동경과 시름의 하소연이 아주 진솔하고도 절실하게 표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뜻을 분명히 풀이할 수 없는 부분도 많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청산별곡 구절 및 현대어 풀이

구절 풀이 살어리 살어리랏다의 생략형. 율조를 맞추기 위한 생략적 표현. 살리라, 살겠노라, 살고 싶구나, 살아갈 것이로다,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등이 해석이 가능합니다. 청산 살어리를 어떠한 방식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이상향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도 있고, 현실 도피의 성격, 즉 피난처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멀위랑 머루와 얄리얄리 얄라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고 악률에 맞추기 위한 후렴구. 과 의 울림소리의 연속으로 명랑하고 낙천적인 음악적 효과를 준다 현대어 풀이 살리라, 살리라 청산에 살리로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리로다.

의 주제와 구성을 알아봅시다.

주제 남녀간의 사랑과 그에 따른 이별의 슬픔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구성 333조의 정형률, 3연 14절로 형식으로이루어져 있습니다. 내용에 그러므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 연 서경이 이별을 아쉬워하는 심정을 새롭게 일군 서경에서의 생계도 뒤로 하고 임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제2 연 구스리 적극적인 태도와는 다르게 독백체로 임을 향한 무한한 사랑과 믿음을 맹세하고 있습니다.

제3 연 대동강 갑자기 대동강을 배경으로 하여 떠나가는 임에게 애원하며 사공을 원망합니다. 1ㆍ3연은 불길 같은 감정을 담은 여인의 모습을 보이는 여성적 어조가 나타나고, 2연은 쌀쌀한 이성의 남성적인 어조가 나타나는 작품입니다. 은 서정적 자아가 남성인가, 여성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또한, 제 2연은 고려가요 의 마지막 연과 사설이 일치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작품 해설 1

청산별곡은 척신들의 횡포와 무신들의 무단 정치, 몽골의 침입 등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고려인들의 삶의 애환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꼼꼼하게 살피기

화자가 청산에 살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청산별곡 해제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가요입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