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속담의 이론과목 2탄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속담의 이론과목 2탄

함흥차사의 이론시험 함흥차사는 다. 함, 일 흥, 다를 차, 하여금 사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는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이 없거나 혹은 회답이 더딜 때.를 비유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함흥차사의 유래는 조선후기 축수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398년 조선 초기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태조 이성계의 왕자들 사이에 벌어진 두 차례의 난인 왕자의 난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떠났습니다.

형제들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한 태종 이방원은 아버지로부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성으로 모셔오라고 함흥으로 여러 번 사신을 보냈으나 이성계가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었습니다.


표제어 선정 원칙 마련
표제어 선정 원칙 마련

표제어 선정 원칙 마련

앞에서 표제어 선정을 위힌 기본 자료 수집에 관련해서 간단하게 언급했는데요. 이렇게 자료 수집을 한 이후에는 기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서 표제어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을 정해야 합니다. 할 일이 정말 많죠? 표제어 선정 원칙 단계에서는 표제어의 문법 범주는 어디까지 한정할 것인지, 표제어의 유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표제어가 될 어휘들이 어떤 시기의 것으로 제한되어야 할 것인지, 그러니까 얼마나 옛말까지 올릴 것인지 등을 모두 정하고 기술합니다.

표제어 선정 원칙이라는 게 뭔지 좀 더 풀어서 정리를 해 드리자면, 수집한 자료의 모든 단어들을 모두 다. 사전에 올릴 수 없으니까 말그대로 어떤 단어를 사전에 등재할 것인를 정하는 것입니다. 표준어와 사투리를 대등하게 표제어로 등재할 것인지, 아니면 사투리를 가표제어로 올릴 것인지 이런 것들을 먼저 정해야 합니다.

진화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혀
진화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혀

진화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혀

척추동물은 물속에서 시작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4억 8000만 년 전 어류가 가장 먼저 등장했는데요. 어류는 턱을 크게 벌리면 당연하게 물이 입안으로 들어와 그 안에 있는 먹잇감을 먹을 수 있기에 혀가 필요 없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어류들도 물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물속에서 육지로 터전을 바꾼 어류동물들을 대상으로 혀는 꼭 필요했는데요. 물속에서의 음식 섭취와는 달리 육지에서는 먹잇감을 입에 넣은 뒤 식도로 넘겨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때 혀는 입안에 들어온 음식물들이 식도를 통해 잘 넘어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육지로 올라온 초기 척추동물들은 혀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서 먹이를 먹을 때마다. 근처 호수나 바다를 오가는 수고스러운 행동을 했습니다. 차차 육지 생활에 적응하기 시작한 육지 동물들의 혀도 이에 따라 점점 커졌습니다.

이전 사전의 표제어 활용
이전 사전의 표제어 활용

이전 사전의 표제어 활용

먼저, 이전 사전의 표제어 목록을 재활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전 사전 표제어를 답습하는 것은 사전 사용자와 실제 언중의 외국어 사용 양상을 고려할 때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님은 누구나 아실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새 사전에는 실생활에서 쓰이는 어휘가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유령어가 계속 새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등의 부작용을 안고 가야 하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전 편찬을 할 때에는 이전 사전을 정밀 연구출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는데요, 보통 표제어 구성과 정보 처리 계획을 일부 수정하거나, 완전히 버리거나 전격 수용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참조하고 있다고 합니다.

표제어의 유형

선정된 표제어들을 모아 보시면 가령 사랑에서 파생한 사랑하다와 같은 복합어파생어와 합성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습니다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각각에 대등한 주표제어의 지위를 부여할 수도 있고, 사랑을 주표제어로 삼고 사랑하다를 부표제어로 삼을 수도 있는데요. 요즘에야 서버의 저장용량이 워낙 크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종이 사전의 시대 때는 이런 것 때문에 사전의 외적 규모가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도 있기에 꽤 필요한 문제였지 않을까 싶습니다.

통상 주표제어에 딸려 배열되는 표제어를 부표제어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대로 주표제어를 포함하는 구나 주표제어를 어근으로 하는 복합어의 경우가 부표제어의 전형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형식적으로 부표제어가 주표제어의 하위 표제어라는 데에는 논란의 여지가 적지만, 실제로 사전에서 표제어 유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는 사전에 따라 각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표제어 선정 원칙 마련

앞에서 표제어 선정을 위힌 기본 자료 수집에 관련해서 간단하게 언급했는데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진화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한

척추동물은 물속에서 시작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사전의 표제어 활용

먼저 이전 사전의 표제어 목록을 재활용할 수 있겠죠.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