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 홍씨 시조 본관 파 당홍계 토홍계 문정공파 인물 역관 홍순언
우리나라의 홍씨 우리나라 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습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의하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중 남양 홍씨는 인구수 약 41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중 당홍계가 38만명379708명, 22위 토홍계가 3만명으로 추산됩니다.
등등 홍씨의 본관은 문헌에 111본까지 나와 있으나 현존하는 본관 중에서 남양, 풍산, 부계, 홍주 등 4개가 저명합니다.
한중록의 내용
한중록은 모두 4편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1편은 작가의 회갑해에 쓰여졌으며, 나머지 세 편은 순조 1년에서 순조 5년 사이에 쓰여졌다. 필사본은 14종이 있으며, 국문본 한문본 국한문혼용본 등이 존재합니다. 사본에 따라 한듕록, 한듕만록, 읍혈록 등의 이칭이 있습니다. 이 중 4편의 종합본은 한듕록과 한듕만록의 두 계통만 존재합니다.
한중록에서는 혜경궁 홍씨의 시점에서 지난날 겪었던 일을 서술하였는데, 임오화변의 참변을 주 내용으로 하였으며 여러 사건들 속에서 혜경궁 홍씨 자신이 살아온 일생을 순 한글로 기록한 일대기입니다.
이 글을 통해 조선 양반가 여성의 이면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것이 사료적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볼 수 있겠다.
한중록의 정치사적 의의
위에서 한중록의 제1편부터 제4편까지의 짤막한 내용을 보시면 임오화변에 대해서만 다룬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실로 큰 정치적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합니다. 한중록에서는 영조 40년인 갑신처분 이후 경주김씨와 풍산홍씨의 대립구도, 홍봉한을 겨냥한 공홍파들의 동향, 세손 대리청정을 둘러싼 대립구도와 홍국영의 역할,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 노력, 순조대부터 있어왔던 정순왕후를 포함한 경주 김씨의 일방적 정국운영 등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조 후반시기부터 순조 전반의 시기까지의 정국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료임은 분명합니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자신의 가문을 보존하기 위해 홍봉한, 홍인한, 홍낙임 등의 잘못을 변명하기 위해 저술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가문의 이해를 중시한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의 사료적인 원칙은 잘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것 같다.